-
원인 간단 정리 ssul 통가 화산 폭발카테고리 없음 2022. 4. 7. 11:09
1. 어제 통가에 위치한 해저 화산이 폭발했다. 통가 해저화산은 불의 고리에 위치한 성층화산이다. 지금부터 왜 통가에 화산이 폭발했는지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자.
우선 우리는 통가의 화산폭발에 앞서 통가의 지질구조를 조사하지 않으면 안된다.
2. 통가는 아래 사진을 보면 불쏘시개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 불의 고리란 세계 주요 지진대와 화산대의 활동이 겹친 지역인 환태평양 조산대를 가리키는 말이다.
이제부터는 왜 불의 고리에 지진이나 화산 활동이 활발한지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우리는 조산 운동에 대해서 조사하지 않으면 안된다.
5. 판구조론에서는 조산운동을 지구 표면을 덮은 약 10장의 강한 판이 운동을 하다가 다른 판에 부딪히거나 다른 판 밑으로 들어간다고 설명한다.
5. 이와 같이 플레이트가 부사용하거나 아래로 들어가면 경계를 할 수 있는데, 이것을 수렴경계라고 한다.
수렴경계에는 '대륙판-대륙판'이 부딪치는 충돌형 경계, '대륙판-해양판' '해양판'이 부딪치는 섭입형 경계가 있다.
우리가 지금 알아보는 것은 섭입형 경계이다.
8. 섭입형 경계는 밀도가 높은 해양판이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대륙판과 충돌할 경우 밀도 높은 해양판이 대륙판 아래로 섭입하면서 형성된다.
지표에 나타나는 지형적 특징으로는 해양판 쪽에는 판의 경계를 따라 해구가 나타나고 대륙판 위에는 해구와 나열되어 있다.
따라서 통가해에는 해구가 있다.
아래 사진은 환태평양 조산대의 섭입형 경계 지도. 파란색이 섭입형 경계선이다.
이것은 환태평양 조산대의 화산지도이다. 통가 화산을 볼 수 있다.
12.이제 섭입대에 왜 화산이 생기는지 알아보겠다.
섭입대 화산섬 지대
13. 위와 같이 섭입대에서는 밀도 높은 해양지각은 대륙지각 아래에 들어간다.
14. 이때 해양 지각과 퇴적물은 다량의 물을 포함하고 있는데 섭취될수록 상당량의 물이 방출되지 않고 지하 깊숙이 빨려 들어간다.
15.그리고 지하에서 물이 방출돼 이미 온도와 압력이 높아진 주변 암석의 녹는 점을 단번에 낮춘다. 이에 따라 암석이 녹아 다량의 마그마(암석이 녹은 물질)가 만들어지게 된다.
이 마그마는 압력에 의해 분출되어 용암류와 화산재, 화산탄, 화산암괴 등의 강하 화산 쇄설물층이 쌓여 만들어진 원추형의 화산체를 만든다.
17.우리는 이것을 성층화산이라고 한다. 이 성층화산은 마그마의 공급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며 지각이 두꺼워 마그마의 분화 과정이 활발한 곳에서 발달한다.
백두산은 성층 화산이다.
18. 따라서 섭입대는 가스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고 물에 의해 용융이 일어나 마그마가 한 곳에 지속적으로 공급되므로 성층화산이 많이 위치한다.
19.또한 성층화산은 마그마의 공급이 지속되므로 화산의 정상부 혹은 그 근처에서 주기적으로 분출하는 특징이 있다.
20. 사실 성층화산의 이런 특성 때문에 환태평양 조산대에는 크고 작은 화산 분출이 많이 있었다.(우리가 몰랐을 뿐.)
21.예를 들어 통가도 2015년에 이미 400m(1300피트) 높이까지 분출한 화산이 있었다.
2015년 화산 폭발
22.그러나 이번에는 전 세계에 영향을 줄 정도로 폭발이 크게 터져 화제가 되는 것이다. 통가의 지질학자 타니엘라 쿠라는 화산이 해발 16km까지 치솟았다고 한다.
23.어쨌든 통가 국민의 큰 피해가 없기를 바라며 글을 마무리한다.
24. 끝